이 질문이 머리 속에 떠올랐다면, 축하합니다! HeXA Boot Camp에 아주 적합한 분임이 틀림없군요. 리눅스는 일반적인 컴퓨터의 Windows, macOS와 같은 운영체제입니다. 다시 말해, 여러분들의 컴퓨터에서 Windows, macOS를 지워버리고 리눅스라는 물건으로 대체하더라도 여전히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뜻입니다.
개발하려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Windows나 macOS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들고자 하는 것이 3D 게임이라면 Windows를 쓰는 게 좋을 수 있고, 아이폰 앱을 만들려고 한다면 macOS를 쓰는 것이 심신 안정에 도움이 되죠.
하지만 특별한 개발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지금 시점에서는 어떤 개발을 하든지 무난하게 사용하기 좋은 리눅스를 쓰는 것이 최선으로 보입니다. 특히나 Windows를 사용한다면 세팅을 제대로 하지 않았을 때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기도 하고요.
일단 본인이 주력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노트북)가 사용하는 운영체제가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아니 이걸 왜 들음? ㅋㅋ
macOS는 리눅스와 뿌리가 같아서 스킨을 씌운 리눅스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리눅스 환경을 세팅할 게 따로 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유용한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apt, apt-get 등을 macOS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macOS에서는 Homebrew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리눅스와 같은 개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Windows는 나머지 운영체제들과 근본이 다릅니다. 리눅스와 macOS의 기반이 되는 UNIX가 아닌 자체적인 MS-DOS에 기반을 두고 있죠. 그래서 Windows에서 리눅스 개발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나마 최근에는 Windows 자체적으로 리눅스 개발 환경을 세팅할 수 있도록 **Windows Subsystem for Linux(WSL)**이라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편하게 리눅스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